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7~8월 전기요금 누진제를 한시 완화하고, 취약계층 전기요금 감면 한도를 월 2만원으로 확대했습니다. 폭염 속 국민과 농축산업 피해를 막기 위한 종합대책도 함께 알아보세요.
올여름 역대급 폭염이 예고되면서,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전기요금 부담을 덜기 위한 누진제 완화와 취약계층 요금 감면 확대, 그리고 산업·농축산 분야 피해를 막기 위한 폭염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 전기요금 누진제 한시 완화, 7~8월 얼마까지 절감되나?
현재 우리나라 가정용 전기요금은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단가가 비싸지는 누진제가 적용됩니다.
- 1단계(0~200kWh): 120원/kWh
- 2단계(200~400kWh): 214.6원/kWh
- 3단계(400kWh 초과): 307.3원/kWh
그런데 이번에 정부가 7~8월 한시적으로 누진 구간을 완화합니다.
- 1단계: 0~300kWh
- 2단계: 300~450kWh
이렇게 되면 월평균 406 kWh를 사용하는 4인 가구 기준 전기요금이
평균 9만 2,530원 ➔ 7만 4,410원으로 약 1만 8,120원(16.8%) 줄어들 전망입니다.
더운 여름, 에어컨을 마음 놓고 켜기 어려웠던 많은 가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겠죠.
👪 취약계층 전기요금 감면도 확대
저소득층,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도 강화됩니다.
7월부터 전기요금 감면 한도가 월 최대 2만원으로 확대돼 더 큰 혜택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또 이미 지난 1일부터 연간 최대 70만 1,300원의 에너지바우처도 일괄 지급을 시작했습니다.
폭염에 취약한 가구가 소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폭염 종합 대책… 산업재해, 농축산 피해도 예방
당정은 이번 폭염을 단순히 가정 전기요금만의 문제로 보지 않고, 산업·농업·서비스업 전반에 걸쳐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 건설·조선업 등 고위험 사업장 불시 점검, 시원한 물·냉방장치 지급, 2시간마다 20분 휴식, 온열질환 119 신고 의무화 등 5대 폭염수칙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확인합니다.
- 농촌 및 소규모 사업장 외국인 근로자가 낮 12~5시 작업을 중단하도록 마을 방송, 문자, TV 자막 등으로 반복 안내하고, 지자체 순찰로 낮 시간대 작업자 발견 시 귀가를 권고합니다.
- 공공형 계절근로자는 오전 근무로 조정, 배달 노동자 건강권을 위해 지자체와 플랫폼이 협력해 얼음물 제공, 휴식 보장 등도 추진됩니다.
- 농작물·가축 피해를 막기 위해 약제·긴급 급수 지원, 상시 모니터링 체계도 가동 중입니다.
당정은 이미 4월 1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약 500억 원 규모의 폭염 대책비를 집행했고, 이번 여름 실효성 점검을 위해 현장 실태조사도 함께 진행할 예정입니다.
마무리
유례없는 폭염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전기요금 부담을 덜고, 산업·농축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도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7~8월 누진제 완화로 가정의 에어컨 전기료 걱정을 덜 수 있고, 특히 취약계층은 한층 더 두터운 보호를 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
무더운 여름 건강 지키시고, 더 많은 정부 지원제도도 꼼꼼히 챙기시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 최저임금은 얼마? 최저임금제 Q&A 총정리! (0) | 2025.07.16 |
---|---|
📱 2025년 7월 22일 단통법 폐지! 휴대폰 가격과 소비자 혜택은 어떻게 바뀔까? (0) | 2025.07.16 |
식중독일 때 집에서 대처하는 법 총정리! 식사·수분·피해야 할 음식까지 (0) | 2025.07.14 |
여름철 식중독 예방과 증상 총정리 (0) | 2025.07.14 |
여름철 식중독 예방법 총정리! 꼭 지켜야 할 안전 수칙 (0) | 2025.07.14 |